pidstat 명령어 프로세스 부하 보기

http://www.thegeekstuff.com/2014/11/pidstat-examples/ 리눅스에서 과부하 프로세스를 다음과 같이 2초간 5번 출력하도록 해서 바쁜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다. # pidstat 2 5 10:54:39 AM UID PID %usr %system %guest %CPU CPU Command 10:54:41 AM 0 58 0.00 0.50 0.00 0.50 0 rcu_sched 10:54:41 AM 0 15801 0.99 0.00 0.00 0.99 20 java 10:54:41 AM 0 19560 0.00 1.49 0.00 1.49 24 htop 10:54:41 AM 0 33089 0.00 0.50 0.00 0.50 18 pidstat 10:54:41 AM UID PID %usr %system %guest %CPU CPU Command 10:54:43 AM 27 14715 0.50 0.50 0.00 1.00 4 mysqld 10:54:43 AM 0 15801 7.00 0.50 0.00 7.50 20 java 10:54:43 AM 0 19560 0.50 0.50 0.00 1.00 24 htop 10:54:43 AM 0 33089 0.50 1.00 0.00 1.50 18 pidstat 10:54:43 AM UID PID %usr %system %guest %CPU CPU Command 10:54:45 AM 27 14715 11.50 0.00 ...

CentOS 7 systemd

http://lunatine.net/about-systemd Fedora와 RHEL7, 따라서 CentOS7도 systemd를 알아야만 한다. 기존의 upstart 패키지의 init system 구조가 프로세스 1번 systemd로 변경이 되었다. MySQL 5.6을 설치하면서 /etc/securitty/limits.conf에 설정한 max open files 설정이 적용되지 않아서 찾아보니 service 파일에 직접 설정해야 한다. /usr/lib/systemd/system/mysqld.service 파일에 다음 항목을 추가함. LimitNOFILE=50000 LimitNPROC=50000 # cat /proc/`pidof mysqld`/limits Limit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Soft Limit           Hard Limit           Units   Max cpu time              unlimited            unlimited            seconds Max file size             unlimited            unlimited            bytes   Max data size             unlimited       ...
이미지
http://bjango.com/mac/istatmenus/

블로그에 코드 삽입하기

http://alexgorbatchev.com/SyntaxHighlighter/ http://makingappfor.blogspot.kr/2013/05/blogger.html

리눅스에서 쿼타 설정하기

https://access.redhat.com/documentation/en-US/Red_Hat_Enterprise_Linux/6/html/Storage_Administration_Guide/ch-disk-quotas.html /home 파티션의 사용자별로 설정한다. quotacheck -cu /home 현재 상태 체크 - 파티션이 클수록 오래 걸린다. quotacheck -avu /home 파티션의 쿼터 기능을 킨다. quotaon -vug /home 그룹도 설정할 경우 -g 옵션을 추가한다.

간단한 인텔 cpu 개요

http://rigvedawiki.net/r1/wiki.php/%EC%9D%B8%ED%85%94%20CPU%EC%8B%9C%EB%A6%AC%EC%A6%88%20%EC%9D%BC%EB%9E%8C 인텔 8086/8088 [1] 인텔 80186/80188 인텔 80286 시리즈 인텔 80386 시리즈 인텔 80486 시리즈 펜티엄 시리즈  (펜티엄1, MMX 등) 펜티엄II 시리즈 펜티엄III 시리즈 펜티엄4 시리즈 펜티엄M 시리즈  - 노트북용 펜티엄D 시리즈 코어 시리즈 코어2 시리즈 코어 i 시리즈 인텔 CPU 시리즈는 위와 같아. 펜티엄4는 엄청 옛날거고 펜티엄D 시리즈부터 멀티 코어가 나오기 시작했지 i5-3230M 처럼 뒤에 M이 붙으면 모바일용이고, U가 붙으면 저전력 울트라북용이고 코어 i시리즈는 처음 1세대부터 지금 4세대까지 나왔어 각 세대별로 이름이 있는데 지금 4세대 이름이 해즈월이야. 코어 i 시리즈는 다시 등급 별로 i3 / i5 / i7 이렇게 세 등급이 있고 i7이 가장 좋은 거지. 1세대는 i5-450 처럼 뒤에 세자리 숫자로 되어 있고, 당연히 숫자가 높을 수록 좋은 거야 2세대는 i5-2xxxx 로 2천 단위의 숫자가 붙고 3세대는 i5-3xxxx 로 3천 단위의 숫자가 붙고 4세대는 i7-4770 처럼 4천 단위의 숫자가 붙어 https://itunes.apple.com/kr/podcast/geugeos-eun-algisilhda/id570067454 팟캐스트 방송중에 그것은 알기싫다라고 있는데 여기 신인류 연대기 라는 시리즈가 있는데 그게 IT역사에 대해서 일반인들 알기 쉽게 알려주기 때문에 잘 모르는 들으면 좋다.